반응형 운동 하자183 토요일 불암산 정상 오르기 두번째 / 1등산로 서울 지하철 4호선 당고개에서는 1,2,3등산로를 갈수있고 4호선 상계역에서는 4, 5등산로를 오를수 있다. 오늘은 1등산로로 올랐다. 당고개 내려 등산로 찾기 참 힘들다. 오랜세월 강북에서 살았고 20~15년 전 4년간 당고개역은 내 출근길이였는데 등산로를 못찾아서 왔다갔다 했다. 일단 덕릉고개에 수락산과 불암산을 오르는 등산로가 있다는걸 믿고 그곳으로 향했다. 고갯길을 오르다보니 외곽순환로를 만나게 된다. 아직 일반길인데 등산 주의 사항이 보인다. 등산로가 있다는 뜻이니 아니 기쁠소냐~ 외각순환로를 지나자 마자 왼쪽에 산으로 올라가는 길이 있다. 자~ 일단 등산로는 찾은거다. 둘레길은 불암산 등산로와 연결된다는걸 지난주 불암산 4등산길로 정상을 다녀와 알고 있었다. 서울둘레길 (덕릉고개)라면 불암산 .. 2015. 2. 7. 불암산 첫 등반길 / 상계역에서 등산로 찾기 상계역 1번 출구에서 당고개 쪽으로 직진하면 오거리 같은 사거리가 나온다 거기서 왼쪽 산이 보이는 쪽으로 아파트 사이의 길을 따라 오르면 불암산 등산로가 연결된 불암산 공원이 나온다. 약 4호선 상계역에서 5~10분 이내의 거리이다. 상계역에서 등산로 가는 길 소개 상계 1번 출구로 나와서 오른쪽으로 돌아서 당고개역 쪽으로 천변을 따라서 약 150m정도 걸어간다. 그리고 길이 끊어지면 오른쪽 횡단보도로 건너서 산쪽으로 올라간다. 당고개쪽으로 가면 안된다. 횡단보도를 걷너서 그대로 직진하면 슈퍼가 나온다. 여기서 물 한병 사 들고 올라가면 된다. 그럼 또 100m 쯤 오르면 불암산 공원 돌 표지판이 보일거다. 여기서 부터 급경사다. 그냥 직진한다. 직진해서 올라가면 4등산로 아니면 5등.. 2015. 1. 31. 다이어트 운동법 / 계단오르기 보다 좋은 의자 오르기 장단점 걷기 출퇴근 운동 2년으로 고도 비만에서 경도 비만으로 내려온 야야곰이다. 25kg을 감량했는데 사실 이번달 1kg 증가했다, 먹는걸 줄여야 겠지만 운동을 많이 한다고 꼭 좋은건 아니라는걸 깨닫게 한 5개월 정체기인것 같다. 먹는걸 줄이려해도 유혹이 참 많고 운동을 더한다고 체중이 내려가지도 않는건 운동을 해서 힘드니까 더 먹게 되는 악순환 때문이다. 덜 먹으면 되지 한다면 그게 되면 애초에 뚱뚱하지 않았을거다. 현재 체중이 78kg 정도 된다. 77.5~79.5kg을 왔다갔다 한다. 이번에 의자를 오르락 내리락 해 보고 동영상을 찾아 보니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괜찮은 영상 하나를 소개하면 아래영상으로 한발만 오르기 한세트하고 반대편 발 오르기 하는 방법이다 . 좋은 방법이긴 한데 별로 마음에는 안든다.. 2015. 1. 20. 1주일에 한번씩 등산하면 살 빠질까 ? 결론은 안 빠진다 왜? 1 주일에 한번 꼭 등산을 한다면 살이 빠질까 하는 생각을 다이어트 운동을 하는 분들은 다 해 보셨을 거다. 직접 1달간 아니 서너달을 거의 매주 등산을 해본 결과 체중이 빠지지 않았다. 오히려 늘었다. 이유가 뭘까? 등산을 했으니 근육이 생겨서 일거라고 생각하면 착각이다. 인바디 검사 결과 복부 비만이 생겼다. 근육량 감소도 물론 왔다. 어이 된 일일까 진짜 황당한거다. 한번 등산을 하면 약 5~6시간 정도 걷게 되는데 왜 안 빠질까 약간 의문이 들었다. 그동안 2년 넘게 하는 걷기 출퇴근 운동을 지속하면서 추가로 주말에 등산 운동을 추가한 상태여서 더 기가 막힌다. 등산은 저중강도의 유산소 운동으로 근지구력과 삼폐기능을 강화하고 운동시간이 길고 에너지 소비가 많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탁월환 효과가 있다.. 2015. 1. 13. 4주 연속 토요일 북한산 백운대 정상 겨울산 도전기 처음 계획은 북한산 백운대 정상 딱 한번 겨울에 올라보는 거였다. 그런데 직장에서의 스트레스가 너무 심해져서 건강한 정신을 위해 업무를 당겨서 처리하고 토요일 겨울 북한산 정상을 오르게 된 것이 첫 시작이었다. 처음 20년간 북한산 갈 일이 없었다. 아니 등산을 전혀 하지 않았으니 산에 갈 일이 없었다. 우연히 시작한 걷기 출퇴근 2년으로 체중도 25kg이나 빠지고 다리가 튼튼해지면서 걷기 운동을 추가하는 과정에서 등산을 하게 되었다. 결국 근방의 산중 최고 높이인 북한산만 남은 상태로 겨울이 된 거다. 북한산을 피해 온건 4km가 넘는 등산길이 어서였다. 왕복 8km가 부담스러웠다. 하지만 다행히 산 중턱까지 도로가 나있어 2km는 언덕길을 오르게 되어있고 탐방지센터가 운영 중이고 편의 시설도 잘 되어.. 2015. 1. 3. 겨울 북한산 백운대 코스 소개 북한산 백운대는 북한산 최고봉이다. 중2 아들 같이 가기로 해놓고 기분 나쁘다고 꼬투리 잡더니 요구조건이 너무 많아 그냥 혼자 올랐다.그래서 한시간이나 늦게 출발해서 10시35분에 북한산 입구에 도착했다. 하지만 일주일 후에는 아들과 같이 백운대에 올랐다. 그 갔다 온 글은 아래 주소다. http://odydy311.tistory.com/1679 버스에 내려 도선사 오르는 아스팔트길이다. 2km정도 되는데 오르막길이라 30분 정도 소요된다. 불상이 보이면 그뒤가 백운탐방지원센터이고 그뒤로 올라가면 하루재다. 백운탐방센터 앞 지도다. 하루재를 넘어 산속에 북한산 경찰산악구조대 바로전에서 바라본 인수봉이다. 일반 등산객에게는 그림의 떡이다. 백운산장 가기전의 긴계단을 오르면 서울 시내가 보인다. 지난번에는 .. 2014. 12. 20.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31 다음